본문 바로가기
에어컨

우리 집 에어컨 인버터 vs 정속형 구분 방법: 1분만에 확인하기

by 햅섭프 2025. 3. 30.

우리 집 에어컨 인버터 vs 정속형 구분 방법: 1분만에 확인하기

 

요즘 전기세가 너무 올라서, 여름만 되면 에어컨 틀기도 살짝 눈치 보이더라고요.

 

그래서 우리 집 에어컨이 인버터인지 정속형인지 한번 확인해 보려고 인터넷 여기저기 찾아봤는데, 생각보다 정보가 흩어져 있어서 정리해 봤습니다.

 

알고 보니 에어컨 방식에 따라 전기요금 차이가 1.5배 이상 날 수도 있더라고요.

 

이 글에서는 제품 외관, 냉매, 소비전력 스티커 등으로 1분 안에 구분하는 법을 정리해 드릴게요. 저처럼 궁금했던 분들께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목차여기]

 

 

 

1. 외관으로 구분하는 방법

에어컨 인버터 vs 정속형 구분 방법: 외관 표기 1에어컨 인버터 vs 정속형 구분 방법: 외관 표기 2

 

구분 기준 인버터 에어컨 정속형 에어컨
본체 표기 여부 ‘Inverter’ 로고 또는 문구 있음 없음 또는 별도 표기 없음

 

에어컨을 딱 봤을 때 본체나 리모컨 주변에 ‘Inverter’라고 쓰여 있는지 먼저 확인해 보세요.

 

요즘 출시되는 인버터 에어컨은 대부분 이 문구가 제품 외관에 눈에 띄게 붙어 있어요. 브랜드 로고 옆이나 상단 모서리 등 잘 보이는 곳에 스티커나 인쇄로 표기돼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에 정속형 에어컨은 이런 표시가 없는 경우가 많고, 외형도 단순한 편이라 구분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Inverter’라는 단어가 보이지 않으면 일단 정속형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뒤에 설명할 소비전력이나 냉매 종류까지 확인해 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2. 냉매명으로 구분하는 방법

에어컨 인버터 vs 정속형 구분 방법: 냉매명 1에어컨 인버터 vs 정속형 구분 방법: 냉매명 2

 

냉매 종류 주로 사용되는 에어컨 유형 특징 및 설명
R-32 인버터 최신 제품에서 주로 사용, 친환경 냉매, 에너지 효율 우수
R-410A 인버터 과거부터 널리 사용, 현재도 인버터에서 흔히 사용됨
R-22 과거 정속형 오존층 파괴 물질,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에어컨 본체에 붙은 제품정보 스티커나 에너지소비효율 스티커를 보면 사용된 냉매 종류가 적혀 있어요. 이 냉매 이름만 봐도 에어컨이 인버터인지 정속형인지 어느 정도 추측할 수 있더라고요.

 

(1) R-32: 인버터에서만 사용

  • 최근 출시된 인버터 에어컨의 대부분이 R-32 냉매를 사용합니다.
  • 에너지 효율이 높고, 지구온난화지수(GWP)가 낮아 친환경 제품 기준에도 적합합니다.
  • 새로 출시된 모델이거나 고효율 에어컨이라면 대부분 R-32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2) R-410A: 인버터과 정속형 모두에서 사용. But 대부분 인버터

  • 예전에는 정속형 에어컨에서도 많이 사용되었지만, 요즘은 인버터 제품에서도 널리 쓰이고 있어요.
  • 특히 구형 인버터 모델이나 중저가 라인업에서 R-410A가 흔하게 사용됩니다.

따라서 R-410A 냉매라고 해서 무조건 정속형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고, 다른 요소와 함께 확인해 보는 게 좋습니다.

 

 

(3) R-22: 과거 정속형 중심, 현재는 거의 퇴출

  • 오존층 파괴 물질(HCFC)로 분류되어 환경 규제로 인해 신규 생산은 중단됐습니다.
  • 지금은 기존 구형 정속형 에어컨의 유지보수용으로만 사용되고 있어요.

 

정리하자면, 냉매명만으로 100% 구분할 순 없지만,

  • R-32라면 인버터
  • R-410A라면 인버터이지만 다른 요소도 확인
  • R-22라면 정속형

이 기준을 가지고 다른 정보들과 함께 보면 훨씬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3. 소비전력 표기를 통한 구분

에어컨 인버터 vs 정속형 구분 방법: 소비전력 1에어컨 인버터 vs 정속형 구분 방법: 소비전력 2
에어컨 인버터 vs 정속형 구분 방법: 소비전력 1

 

소비전력 표기 방식 해당 에어컨 유형
하나의 고정값 (예: 1500W) 정속형
정격 / 중간 / 최소값으로 구분되어 표기됨 인버터

 

제품 본체에 붙은 제품정보 스티커에서 "소비전력" 항목을 보면 금방 확인할 수 있어요.

 

(1) 정속형 에어컨

  • 소비전력이 하나의 고정된 숫자로만 표기됩니다.
  • 예: 1500W 또는 1.5kW처럼 단일값 표시
  • 컴프레서는 일정한 속도로만 작동하며,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꺼졌다가 다시 켜지는 방식입니다.

(2) 인버터 에어컨

  • 소비전력이 정격 / 중간 / 최소값으로 세분화되어 표시됩니다.
  • 예: 정격 1400W / 중간 800W / 최소 300W
  • 실내 온도 변화에 따라 컴프레서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며, 에너지 효율을 높입니다.

정리하자면,

  • 소비전력이 하나의 값이면 정속형,
  • 정격 / 중간 / 최소값이 나눠져 있으면 인버터입니다.

에어컨 스티커에서 이 부분만 제대로 확인해도, 인버터인지 아닌 지 1분 안에 구분할 수 있어요!

 

🔋 인버터 소비전력 구간 예시

  • 최소 전력: 약 300~450W (온도 유지 시)
  • 중간 전력: 약 900~1500W (일반 냉방 중)
  • 정격 전력: 약 2000~2600W (냉방 시작 시)

이런 구조 덕분에 인버터은 장시간 사용 시 전기요금을 최대 60%까지 절약할 수 있다고 해요.

 

🔋  참고: 정격능력과 냉방능력은 어떻게 활용할까?

정격능력냉방능력도 제품정보 스티커에 함께 표기되어 있는데요, 이 항목들만으로는 인버터과 정속형을 정확히 구분하긴 어렵습니다.

  • 정격능력: 에어컨이 표준 조건에서 내는 평균 출력 (인버터·정속형 모두 표기됨)
  • 냉방능력: 최대 냉방 성능을 의미하지만, 인버터도 보통 최댓값만 표기됨

따라서 이 두 가지는 보조 판단 기준 정도로 참고하시고, 소비전력 표기 방식이 가장 명확한 구분 기준이라는 걸 기억해 두시면 좋습니다.

 

 

 

4. 모델명으로 구분하는 방법

에어컨 인버터 vs 정속형 구분 방법: 모델명 1에어컨 인버터 vs 정속형 구분 방법: 모델명 2

 

브랜드 인버터 모델 식별 방법
LG 모델명 2번째 자리에 Q 또는 W가 포함되어 있으면 인버터
삼성 모델명 8번째 자리에 5, 7, 9가 들어가면 인버터
캐리어 모델명 5번째 자리에 V, 또는 모델명이 C로 시작할 경우 세 번째 자리에 V
위니아 모델명 3번째 자리에 V 또는 W가 있으면 인버터

 

👉 LG 에어컨 모델명 보는 법

👉 삼성 에어컨 모델명 보는 법

 

에어컨 본체에 적힌 모델명만 봐도 인버터인지 어느 정도 판단이 가능하더라고요.

브랜드마다 규칙이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공식 홈페이지나 설명서를 참고하지 않아도 모델명만으로도 어느 정도 구분이 됩니다.

 

(1) LG 에어컨

  • 모델명의 두 번째 자리에 Q 또는 W가 있으면 인버터입니다.
  • 예: SQQ08BGD, SQW06BGD
  • Q는 퀵 냉방, W는 고효율 인버터 기술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아요.

(2) 삼성 에어컨

  • 모델명의 여덟 번째 자리에 5, 7, 9가 있으면 인버터입니다.
  • 예: AR07T9170HE5
  • 다만 연도나 세부 모델에 따라 예외가 있을 수 있으니 다른 정보와 함께 참고하세요.

(3) 캐리어 에어컨

  • 일반적으로 다섯 번째 자리에 V가 있으면 인버터입니다.
  • 예: CPV-V133SD
  • 모델명이 C로 시작하는 경우, 세 번째 자리에 V가 있는지 확인하세요.

(4) 위니아 에어컨

  • 모델명의 세 번째 자리에 V 또는 W가 있으면 인버터입니다.
  • 예: MWV06CX

 

물론 예외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모델명만으로 100% 단정 짓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공식 문서를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모델명은 꽤 유용한 판단 기준이 될 수 있어요.

 

이왕이면 소비전력, 냉매, 외관 표기와 함께 확인하면 더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에어컨 전기세 절약에 도움이 되는 글

✔️ 에어컨 냉방 vs 제습 전기세 비교
✔️ 외출 시 에어컨 끄고? 켜두고? 시간별 전기세 비교
✔️ 에어컨과 선풍기 조합으로 전기세 절약하기

 

에어컨이 인버터인지 정속형인지 헷갈렸던 분들이라면, 이제는 제품정보 스티커 하나만 봐도 어느 정도 감이 오실 거예요.

 

저도 전기요금 걱정 때문에 찾아보다가 하나하나 비교해 봤는데, 소비전력 표기만으로도 꽤 정확히 구분되더라고요.

 

냉매, 모델명, 에너지등급까지 함께 보면 더 확실하니, 새로 구입하거나 기존 제품 확인할 때 꼭 참고해 보세요. 전기요금도 줄이고, 기분도 시원해지길 바랍니다!